집 마련이 힘든 시기에 전·월세를 사는 분이라면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늦지 않게 이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오늘은 전입신고에 필요서류로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하는지 상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입신고는 이사를 가고 난 후, 꼭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월세, 전세, 자가 모두 전입신고를 해야 하는 이유는 본인이 거주하는 곳을 증명하기 위함입니다.
전입신고란?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의 전원 혹은 그 일부가 거주지를 이동할 시 새로운 곳으로 전입한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꼭 신고해주셔야 하는 것입니다.
만약 허위로 신고를 한다거나, 정당한 사유없이 14일이내에 신고를 해주지 않는다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기에 가급적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주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전입신고해야하는 이유
1. 내 보증금을 보호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
2. 월세의 소득공제
3. 무주택 세대주 에게 제공하는 다양한 혜택 (청약 및 기타 청년 지원 정책 등)
4. 무주택 기간 (본인 명의로 등기된 주택이 있으신 분들은 예외)
전입신고 방법(오프라인)
해당 관할 센터를 방문해야합니다.
해당 물건 지역의 주민센터를 방문해 대면 접수하는 방법입니다.
직접 방문해 처리할 경우 세대주는 신분증
세대주가 아닌 경우 세대주 신분증과 도장, 신청하는 사람의 신분증을 모두 지참해야 합니다.
전입신고 하는 방법 (온라인)
1. 먼저 정부24를 들어간다
민원24 or 정부24 검색
2. 전입 신고를 검색창에 검색하고 신청서비스를 클릭합니다.
다만, 이때는 공인인증서가 있어야 하므로 사전에 준비해야 합니다.
직접 방문과는 달리 관공서가 끝나는 시간인 오후 6시 이후나 공휴일에는 신청 접수가 업무시간에 한정되어 진행되므로 이 부분을 주의해야합니다.
3. 신청하기를 눌러주면 우선 신청인 정보를 확인합니다.
4. 1단계 신청인 정보를 입력합니다.
이름, 연락처, 전입하는 사유를 선택하시고 다음단계를 눌러주시면 됩니다.
순서대로 입력 후 다음단계 눌러주시면 됩니다.
5. 2단계로 넘어오며 이사전에 살던 곳이 나옵니다.
이전에 살던 곳의 지역을 체크해주고 '주소조회'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상세주소와 관할 사무소나
주민센터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6. 3단계에서는 이사갈 곳(이사온 곳)의 정보를 입력합니다.
기본주소/상세주소/ 다가구 주택여부를 입력하고, 빈집으로 이사가는지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지를 체크하고, 민원신청하기를 누르면 됩니다.
대리인 전입신고 방법
직접 방문해서도 전입신고가 가능합니다.
구비서류를 지참하여 이사한 거주지의 주민센터를 방문합니다.
※ 전입신고 필요서류
1.세대주 본인 방문시에는 신분증, 도장(서명가능)
2.그 외 대리인 방문시에는 세대주 신분증과 인감도장, 방문자 신분증입니다.
대리인의 범위는 세대주 직계혈족, 배우자, 배우자의 직계혈족, 직계혈족의 배우자입니다.
(세대주 형제 자매 불가)
전입 신고 서류
간략하게 요약 하면 아래와 같이 준비하시면 됩니다
※ 정부 24 온라인 신청 시
- 전입신고 필요서류 : 공인인증서(공동 인증서)
※ 동사무소, 읍사무소 오프라인 신청 시
- 본인 신분증(본인이 아닐 경우 양쪽 신분증과 도장)
댓글